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글로벌 관세 전쟁 대응, 투자자가 취할 3가지 전략

by sophia0294 2025. 4. 9.

 

2025년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본관세 발표로 시작된 글로벌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주요 무역국에 최대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이에 맞서 중국, EU, 인도 등도 보복 관세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 사태를 접하고 기존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소비재 섹터 비중을 줄이고, 에너지와 대체시장 중심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주가'를 보는 시대가 아닙니다. 환율, 산업 정책, 정치적 리스크까지 고려한 전략이 요구됩니다. 지금 투자자에게 필요한 3가지 대응 전략을 실제 시나리오 기반으로 정리합니다.

 


 

1. 디버전스 전략: 분열의 틈에서 기회를 찾다

디버전스(Divergence)는 경제, 산업, 국가 간 흐름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전략입니다. 지금은 미국과 중국이 명확히 다른 방향으로 경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 미국: 반도체, 인프라, 에너지 중심의 보호무역 전략
  • 중국: 내수 진작, 유럽 및 동남아 시장과 무역 다변화

예를 들어 미국 반도체주(엔비디아)가 조정을 받는다면, 같은 산업이지만 미국 의존도가 낮은 한국 반도체주는 상대적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디버전스 전략은 ETF에도 유효합니다.

  • 미국 중심: $VOO, $SMH, $XLE
  • 비미국 중심: $INDA(인도), $EWZ(브라질), $ASEA(동남아)

 

2. 에너지·원자재 수혜주: 공급망 혼란의 반사이익

글로벌 관세 전쟁이 심화될수록 공급망이 흔들리고, 그 여파는 가장 먼저 원자재 시장에 나타납니다. 트럼프의 정책은 에너지·자원 분야를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에, 오히려 수혜 섹터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주목할 섹터와 대표 종목

  • 에너지: 엑손모빌(XOM), 셰브론(CVX) - 미국 내 자원 생산 확대 수혜
  • 광물: 프리포트 맥모란(FCX), 알버말(ALB) - 구리, 리튬 등 전기차 필수소재
  • 농산물: Deere & Company(DE), ADM - 식량 수출입 불균형 수혜

필자는 셰브론과 ADM의 비중을 늘리며 원자재 중심 분산투자를 강화했습니다. 이는 위험 회피와 동시에 방어형 수익 확보를 위한 선택이었습니다.

 

3. 달러 헤지 전략: 환율이 수익을 결정짓는 시대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면 가장 먼저 움직이는 지표는 환율입니다. 특히 미국이 자국 보호 중심 정책을 강화하면서 달러 강세는 불가피한 흐름으로 보입니다.

이때 투자자가 쓸 수 있는 달러 헤지 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UUP (달러 인덱스 ETF): 직접적인 달러 강세 수혜
  • $GLD, $IAU (금 ETF): 안전자산이자 달러 약세 시의 리스크 헷지 수단
  • 달러자산 비중 확대: 미국 주식, 달러 예금 비중 확대 전략

추가로 글로벌 멀티에셋 펀드 또는 달러 연동 채권 ETF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관세 전쟁은 새로운 투자 시대의 신호

2025년의 관세 전쟁은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라, 세계 질서 재편의 신호탄입니다. 투자자는 이 불확실성을 ‘위험’이 아니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 디버전스 전략: 국가·산업별 온도차 포착
  • 에너지·원자재 투자: 실물 기반 리스크 회피
  • 달러 헤지: 환율 리스크 대비 구조 구축

이 3가지 전략을 균형 있게 조합한다면, 향후 몇 년간 반복될 수 있는 국제 무역 갈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추가로 트럼프의 기본관세 발표 배경과 미국 주식시장 흐름에 대한 분석은 이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맞불 관세가 미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